20250131-0201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호도, 세계일보 한국갤럽
[2025조사]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선호도 여론조사 모음
세계일보 의뢰, 한국갤럽 2025년 1월 31일~2월 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 대상 조사
가상 양자대결
이재명 대표 47%, 오세훈 서울시장 43%
- 이 대표는 오 시장과의 양자대결에서 40대 응답자로부터 68% 지지율로 21%의 지지율을 기록한 오 시장을 크게 앞섰다. 50대에서도 53% 지지를 얻어 오 시장(39%)과 차이를 10%포인트 이상 벌렸다. 다만 이 대표는 70세 이상 고령층에서 28% 지지를 얻는 데 그쳐 64% 지지를 얻은 오 시장에 크게 뒤처졌다. 60대 응답자는 이 대표 46%, 오 시장이 50%였다.
- 지역별로는 중도·무당층이 상대적으로 많아 캐스팅보트 지역으로 분류되는 서울과 충청에서 두 사람이 초접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서울에서는 이 대표가 48% 지지를 얻어 46%를 얻은 오 시장과 경합을 벌였다. ‘대선 민심 풍향계’로 꼽히는 대전·세종·충청에서는 이 대표가 41%, 오 시장이 44%로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이었다. 다만 인천·경기에서 이 대표는 53% 지지를 얻어 37%를 얻은 오 시장을 16%포인트 앞섰다.
이재명 대표 50%,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37%
- 설 연휴 전 일부 여론조사에서 양자대결 시 이 대표와 오차범위 내 격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던 김 장관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는 37% 지지를 얻어 50% 지지를 얻은 이 대표와 13%포인트 지지율 격차가 벌어졌다. 이 대표는 18∼29세부터 50대 응답자 조사에서 모두 오차범위 밖에서 김 장관을 앞섰다. 60대는 두 사람이 각각 47% 지지로 동률을 기록했고, 70세 이상에서만 김 장관(57%)이 이 대표(31%)를 앞섰다.
이재명 대표 47%, 홍준표 대구시장 39%
- 이 대표와 홍 시장 간 양자대결에서는 이 대표가 47%, 홍 시장이 39%로 오차범위 밖에서 이 대표가 우위를 점했다. 홍 시장은 18∼29세와 7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만 이 대표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 연휴 전 같은 기관 조사와 비교하면 이 대표 지지율은 2%포인트 올랐고, 홍 시장은 3%포인트 하락했다.
이재명 대표 47%, 한동훈 전 대표 34%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호도
이재명 대표 40%, 김동연 경기지사 10%, 김부겸 전 총리 8%, 우원식 국회의장 6%, 김경수 전 경남지사 5%, 정세균 전 총리 3%, 박용진 전 의원 3%, ‘지지하는 이가 없다’ 20%
- 전 연령대에서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은 민주당 내 잠재 대선 주자는 이 대표가 유일했다. 이 대표를 지지한 응답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연령대는 40대(58%)와 50대(46%)였다. 30대(38%)와 60대(37%), 10·20대(33%)의 지지세가 뒤를 이었다. 보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분류되는 70대 이상 연령층에서도 이 대표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25%에 달했다. 김동연 지사는 10·20대(11%), 60대(14%), 70세 이상(16%)에서, 김부겸 전 총리는 50대(10%)와 60대(13%), 70세 이상(14%)에서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었다. 우 의장은 30대(10%)에서 유일하게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했다.
- 민주당을 지지한다고 밝힌 응답자로부터 두 자릿수 지지율을 얻은 주자 역시 이 대표가 유일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이 대표를 지지하는 응답자 중 81%가 민주당 지지자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김동연 지사를 선택한 응답자들은 개혁신당(19%)과 국민의힘(16%)을 지지하는 비중이 컸다. 김부겸 전 총리를 선택한 응답자의 17%는 국민의힘 지지자라고 밝혔다. 김 지사와 김 전 총리를 지지하는 민주당 지지자는 각각 4%와 1%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 이 대표가 야권 내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와중에도 ‘지지하는 이가 없다’는 응답이 20%에 달하는 점은 그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정치 성향별로 볼 때 중도(19%), 모름·응답 거절(42%)이라고 답한 유권자가 민주당 내 어느 누구도 차기 지도자로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해서다.
“정치 양극화의 책임이 어디에 있느냐”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 28%, 대통령 14%, 여당인 국민의힘 13%
- 야권을 꾸짖는 목소리는 연령별로는 70세 이상(54%)이 가장 컸다. 60대(40%), 50대·30대(27%·〃)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46%)과 부산·울산·경남(41%)에서 민주당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컸다.
- 반면 40대와 18∼29세에서는 대통령과 여당의 책임이라는 목소리가 컸다. 40대에서 대통령(18%)과 국민의힘(19%)을 고른 비율은 총 37%로 야권(16%)보다 높았다. 18∼29세에서도 정치 양극화 책임에서 대통령(11%)과 여당(12%)을 고른 응답비율은 23%, 야권은 14%였다. 광주·전라 지역에서는 대통령(32%), 국민의힘(14%)에 정치 양극화의 책임을 묻는 비율이 민주당(5%)보다 월등히 높았다. 12·3 비상계엄 사태로 탄핵심판 중인 상황에서도 잘못을 인정하기보다 부정선거 의혹만 제기하는 윤 대통령과 이를 비호하는 일부 여당 의원들에 대한 반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 정치성향에 따라 상대 진영에 양극화의 책임을 떠넘기는 현상도 나타났다. 보수층 응답에서는 야권(55%)이 압도적 1위, 언론(23%)이 2위로 집계됐고 진보층 응답에서는 국민의힘(27%)이 1위, 대통령(24%)이 2위였다. 중도층에선 야권의 책임이라는 답이 22%, 대통령 책임이라는 응답이 17%, 국민의힘 책임이라는 응답이 12%였다.
- 언론을 정치 양극화의 책임 주체로 고른 비율은 19%에 달했다. 정치권과 대중에 미치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는 정치 유튜버를 택한 이들도 11%에 이르렀다. 18∼29세에서는 ‘언론이 정치 양극화를 조장한다’는 생각이 30%에 달했다. 40대에서도 언론(21%)이 높았다.
- 조기 대선이 열릴 경우, ‘정권교체’를 지지한다고 답한 이들 중 18%가 정치 양극화의 책임을 ‘언론’에, 17%가 ‘정치 유튜버’에 물었다. 자신의 정치 성향이 ‘진보’라고 한 응답자 중에서도 16%가 정치 양극화의 책임을 ‘정치 유튜버’에 돌렸다.
- 반면, 자신의 정치 성향이 ‘보수’라고 한 응답자 중 6%만이 정치 유튜버에게 정치 양극화의 책임을 물었다. 보수 성향 응답자 중 언론에 책임을 물은 응답자는 23%였다. 최근 불거진 부정선거론과 서울서부지방법원 난동 사태를 극우 정치 유튜버들의 ‘선동’이 키웠다는 지적에 대한 국민 인식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개헌을 한다면 어떤 권력 구조가 좋은지’
‘4년 중임 대통령제’ 49%, ‘의원내각제’ 17%, ‘분권형 대통령제’ 14%, ‘기타’ 3%, ‘모름 혹은 응답거절’ 17%
- 4년 중임 대통령제는 응답자의 정치성향과 관계없이 1위를 차지했다. 보수층 53%, 진보층 51%, 중도층 47%가 개헌 방향으로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선택했다. 보수층에선 의원내각제가 9%, 분권형 대통령제는 15%였다. 진보층과 중도층에선 분권형 대통령제가 각각 26%, 21%였고, 의원내각제는 각각 10%, 17%였다.
- 지지 정당별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4년 중임 대통령제(52%), 분권형 대통령제(18%), 의원내각제(8%) 순이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4년 중임 대통령제(52%), 의원내각제(23%), 분권형 대통령제(11%) 순이었다.
조사의뢰: 세계일보
조사실시: 한국갤럽
조사일시: 2025년 1월 31일 ~ 2월 1일
조사대상: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조사방법: 무선 전화 인터뷰 조사
표본크기: 1004명
피조사자 선정방법: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응답률: 14.8% (6796명 중 1004명 응답)
가중값 산출 및 적용: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가중 (셀 가중)
표본오차: ±3.1%p (95% 신뢰수준)
질문내용: 정당 지지도, 장래 정치 지도자, 대선 가상대결 등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