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직자의 일상복(클러지 칼라, 일명 로망 칼라)은 어디서 유래했을까?
소위 로망 칼라로 불리는 현재 성직자의 평상복은 유럽에서 개신교 목회자들과 법조인들의 드레스 코드였다. 그 당시 이들은 말을 타기 위한 편의상 검은 옷에 흰색의 목테두리(sweatband, cravat)를 했다. 이것이 18세기 영국의 존 웨슬리에 의해 성직자 예복으로 차용되었다. 그는 말을 타고 원거리를 다니며 전역을 다니며 설교했는데 이 복장을 선호했다.
로망 칼라는 클러지 칼라(clerical collar)라고 부르는데, 이후 유럽에서 이런 형태의 로망 칼라가 개신교 성직자의 일상복이 되었다. 18세기 이전까지 로마 가톨릭에서는 아직 이런 복장이 신부들의 평상복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현대의 근본주의 개신교인들 사이에서, 로망 칼라가 가톨릭 성직자 예복의 전형이고 그것을 개신교에서 가져왔다고 말하는데 대단히 유감스런 말이다.
영국성공회 조사센터(Glasgow Herald, 1894.12.6일자: The Times, 2002.3.14 : 1909년 글래스고우에서 발행된 Who's Who에 실린 도날드 맥리드에 대한 글)에 의하면, 현재 형태의 로망 칼라는 글래스고우에서 목회하던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도널드 맥리드(Donald Mcleod) 목사가 처음 고안해서 착용했다.
1840년 경, 영국 성직자들은 세속과 자신을 구별한다는 의미에서 그 외적 상징으로 이 드레스 코드를 채택했다. 그 당시 사용된 검은 옷에 흰색 스카프/타이를 하는 추세는 수십년간 지속되었고, 1880년대에 와서 성직자 예복으로서의 클러지 칼라(clerical collar)로서 애용되었고 19세기가 끝나갈 때 쯤 성직자들의 주 의복으로 보편화되었다. 흰색 목 라운드는 이후 검은색 깃에 목젖부분을 트고 흰색으로 간이 라운드를 두는 오늘날의 형태로 개량되었다.
소위 개혁주의 전통에서도 이 의복을 패용했는데, 장로교회에서 개량된 이 클러지 칼라는 성공회, 감리교, 정교회, 침례교, 루터교는 물론 로마 가톨릭 등 다른 교파에서도 채택되었다.
1967년 당시에 로마 가톨릭 성직자들은 평상복으로서 캐삭(cassock)을 입었었는데(일반적으로 캐삭이 예전복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옷은 예전복이 아니라 로망칼라를 입기 전, 가톨릭 성직자들의 평상복이었다. 예전에서는 알브를 입고 그 위에 캐슈블, 스톨을 패용하는 것이 전형이다), 이러한 간소화된 복장을 수용했다. 사실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전까지는 가톨릭 성직자들에게서 이것이 크게 유행하지 못했었다.
이 의복은 성공회, 장로교, 루터교 전통과 같은 교파 성직자들의 전형이 되었고 후에 감리교, 오순절파 그리고 비교파교회들에서도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로마 가톨릭에서는 부제로 서품되기 전의 고학년 신학생들이 학교나 교구에서 이 복장을 입는 것이 허용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이 클러지 칼라가 영국과 여타의 영연방국가(카나다 등)에서 19세기 중반까지 ‘개 목걸이’(dog collars)로 불려지기도 했다는 것이다.
그리스도연합교단 소속의 케네스 콜린스(Kenneth W. Collins) 목사는 ‘예전복과 목회자 의복’(‘Vestments and Clericals’, Hemera Technologies, Inc에 올려진 글)이란 글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도날드 맥리드 박사가 목을 두르는 셔츠 스타일을 고안했고, 장로교 성직자들이 얼마 후부터 흰색 밴드를 패용했다. 맥리드는 자신이 고안한 셔츠 스타일에 목둘레에 탭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현재 형태로 조화시켰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한참 후까지 이것을 성직자들의 일상복으로서 채택하지 않았다.”(이 글은 다음을 기초로 번역요약 및 작성했습니다.-http://en.wikipedia.org/wiki/Clerical_collar)
참고로 클러지 셔츠는 예전복이 아니라 평상시의 의복이고, 목 전체를 흰색밴드로 감싸는 형태(neckband shirts)와 목젖부분이 트인 셔츠에 흰색의 탭을 추가하는 형태(tab-collar)가 있는데, 현재는 후자가 주로 애용되고 있다.
- 이 글은 박찬희 박사의 글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