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조사]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선호도, 호감도, 양자대결, 정당지지도 여론조사 모음
[202503조사]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선호도, 호감도, 양자대결, 정당지지도 여론조사 모음
[202502조사]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선호도, 호감도, 양자대결 여론조사 모음 [202502조사]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 선호도, 호감도, 양자대결 여론조사 모음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
hangil91.tistory.com
KPI뉴스 의뢰, 리서치뷰 4월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 긴급 여론조사
차기 대선의 가장 중요한 시대정신
'윤석열 정부 적폐 청산' 23.8%, '협치와 국민 통합' 20.8%, '경제 위기 극복' 18.6%, '법치주의 확립' 10.8%, '헌법 개정' 9.1%, '경제적 불평등·양극화 완화' 8.8%, '저출생·지역 소멸 위기 극복' 5.4%, '모름/기타' 2.6%
- 연령별로는 20대(만 18~29세), 30대, 40대, 50대에서는 '적폐 청산', 60대와 70대 이상에서는 '협치와 국민 통합'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적폐 청산' 응답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40대(29.4%), '협치와 국민 통합' 응답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70대 이상(28.6%)이었다. '경제 위기 극복'은 40대(23.2%)와 20대(21.1%)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 25.3%, 경기·인천 23.3%)과 광주·전남북(32.7%)에서는 '적폐 청산', 대전·세종·충남북(23.7%)과 대구·경북(28.1%), 부산·울산·경남(21.2%)에서는 '협치와 국민 통합'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강원·제주에서는 '헌법 개정'(23.2%)을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 보수층은 '협치와 국민 통합'(22.4%), '경제 위기 극복'(18.8%), '법치 확립'(16.6%) 순으로 답했다. 진보층은 '적폐 청산'(36.0%)이 가장 많고 '경제 위기 극복'(19.0%), '협치와 국민 통합'(14.0%)이 그 뒤를 이었다. 중도층은 '적폐 청산'(28.1%), '협치와 국민 통합'(22.5%), '경제 위기 극복'(19.0%) 순으로 답했다.
조기 대선 국면에서 윤 전 대통령의 행보
‘국가적 위기를 초래한 당사자로서 자숙해야 한다’ 68.6%, ‘대선에 개입해야 한다’ 20.6%, 무응답 10.9%
- 보수층 내에서도 자숙해야 한다는 응답이 42.5%를 기록해 개입 의견(38.4%)을 오차범위 내에서 4.1%포인트 앞섰다. 중도층에선 자숙 79.8%, 개입 의견은 14.0%로 집계됐다.
윤 전 대통령을 파면한 헌법재판소의 판결
‘수용’ 52.2%, ‘불수용’ 44.8%
- 직전 조사 때 34.4%에 불과했던 수용 응답은 선고 후 크게 높아졌다.
탄핵 이후 정국상황
‘안정될 것’ 56.9%, ‘혼란스러워질 것’ 40.6%
- 보수층(안정 25.8% vs 혼란 72.3%)만 혼란할 것이라 예측했고, 진보층(83.2% vs 15.8%)과 중도층(66.4% vs 30.2%)에서는 안정될 것이라 전망했다.
조기 대선 다자대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48.7%,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20.8%, 이낙연 전 국무총리 4.7%,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4.2%
- 중도층에서는 55.8%가 이 대표를, 14.6%는 김 장관을 지지했다.
* 이번 조사는 KPI뉴스가 리서치뷰에 의뢰해 지난 4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긴급 여론조사. ARS 전화 조사로 진행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3.8%다. 자세한 내용은 KPI뉴스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의 홈페이지 참조.
출처 : KPI뉴스(https://www.kpinews.kr)
한국갤럽, 4월 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 대상 정례 조사(4월 1주차)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이재명 대표 34%,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9%,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5%, 홍준표 대구시장 4%, 오세훈 서울시장 2%,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이낙연 전 국무총리 각각 1%, ‘의견 유보’ 38%
- 김 장관은 올해 발표된 한국갤럽의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정례 조사에서 줄곧 이 대표에 이어 2위를 기록 중이다. 직전 조사에서 김 장관은 8%였는데 1%포인트(p)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와의 격차는 직전 조사 때 26%p였는데, 이번 조사에선 25%p 차이로 1%p 줄었다. 해당 여론조사의 오차범위 밖에서 이 대표가 압도적으로 또 한 번 1위를 기록한 셈이다.
- 김 장관을 포함해 이들 7명의 선호도를 전부 합해도 23%에 그친다. 조사된 수치로만 놓고 볼 때 이 대표에 대한 선호도보다 11%p 적게 나타나는 셈이다.
- 한국갤럽의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선 선호도 1% 미만이 나온 인물의 경우 별도로 공개되지 않고 ‘기타 인물’로 묶이는데,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에서 ‘기타 인물’에 약 20명이 포함됐고 전체의 5% 비율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을 비롯해 여론조사에 이름을 올린 잠룡들의 선호도 총합에 ‘기타 인물’ 5%를 더해도 28%다.
- 이번 조사에서도 ‘의견 유보’ 비율이 38%로, 이 대표 선호도 34%보다 4%p 높았다. 이 대표가 다른 잠룡들 모두에 앞서고도 정작 ‘부동층’에는 진 셈이다. 아울러 한국갤럽 정례 조사에서 부동층 비율은 2월 2주차(30%) 이후 오름세다. 올해 발표된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 중 이번 조사에서 부동층 비율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 이번 한국갤럽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3.7%다.(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뉴스토마토 의뢰, 미디어토마토 3월 31일-4월 1일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62명 대상 조사
윤석열 대통령의 대통령직 직무 복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직무 복귀에 반대한다" 60.2%, "찬성한다" 37.9%, '잘 모르겠다' 1.9%
-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을 제외하고 모든 세대에서 절반 이상이 윤씨의 대통령직 복귀에 반대했습니다. 20대에서 50대까지 60% 이상이 윤씨의 복귀를 부정적으로 봤고 특히 민주당의 세대 기반인 40·50대에선 윤씨의 복귀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70% 정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보수 지지세가 강한 70세 이상에선 찬성 60.5% 대 반대 37.4%로, 윤씨의 복귀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60%를 상회했습니다. 70세 이상에선 모든 연령대 중 유일하게 윤씨의 복귀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앞섰습니다.
- 지역별로도 모든 지역에서 윤씨의 대통령직 복귀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50%를 상회했습니다. 특히 보수진영의 강세지역인 영남에서조차 절반 이상이 윤씨의 복귀를 반대했습니다. 민주당의 핵심 지지 기반인 광주·전라에선 찬성 23.8% 대 반대 75.1%로, 70% 이상이 윤씨의 복귀를 반대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정치성향별로 보면 민심의 바로미터인 중도층에선 찬성 36.8% 대 반대 60.7%로, 윤씨의 대통령직 복귀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60%를 넘었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90% 이상이 윤씨의 복귀를 찬성했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 찬성 90.6% 대 반대 6.5%, 민주당 지지층 찬성 1.5% 대 반대 98.3%였습니다. 윤씨의 복귀를 두고 양당 지지층의 찬반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가 지연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불안하다" 66.8%, "불안하지 않다" 26.3%, '잘 모르겠다' 6.8%
- 조사 결과를 보면 성별·연령·지역을 불문하고 "불안하다"는 응답이 최소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성별로 보면 남녀 모두 60% 이상이 헌재의 탄핵 선고 지연에 불안하다고 답했습니다.
- 연령별로 보면, 모든 세대에서 탄핵 선고 지연에 "불안하다"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특히 40대와 50대에선 70% 이상이 "불안하다"고 답했습니다. 보수 지지세가 강한 60대 이상에서도 "불안하다"는 응답이 앞섰습니다.
- 지역별로도 모든 지역에서 헌재의 탄핵 선고 지연에 "불안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보수진영의 핵심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TK)에서 '불안' 72.8% 대 '불안 안해' 17.8%로, "불안하다"는 응답이 70%를 상회하며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중도층에서도 60% 이상이 헌재의 탄핵 선고 지연에 불안감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수층과 진보층 모두 "불안하다"는 응답이 높았지만 진보층에서 더 큰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탄핵 선고 지연에 "불안하다"는 응답이 90%를 넘은 민주당 지지층과 다르게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 윤석열씨의 대통령직 복귀 찬반 입장에 따라 헌재의 선고 지연에 대한 불안감도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윤씨의 복귀를 찬성하는 응답자들 중 57.9%가 "불안하지 않다"고 답했고, 반면 윤씨의 복귀를 반대하는 응답자들 중 91.7%가 "불안하다"고 응답했습니다.
민주당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의 연쇄 탄핵을 예고한 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국무위원들의 연쇄 탄핵이 적절하다" 48.9%, "적절하지 않다" 46.6%, '잘 모르겠다' 4.4%
- 연령별로 보면 민주당의 국무위원 연쇄 탄핵 추진에 대해 20대와 60대 이상에선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30대에서 50대까진 적절하다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 지역별로 보면 충청에선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호남에선 적절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경기·인천에선 절반 이상이 적절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외 지역에선 민주당의 국무위원 연쇄 탄핵 추진에 대한 찬반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특히 보수 지지세가 강한 영남에서도 찬반 응답이 엇갈렸습니다.
- 중도층에서도 찬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중도층 적절 47.1% 대 부적절 47.7%였습니다. 진영별로도 민주당의 국무위원 연쇄 탄핵 추진에 대한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공직선거법 위반 2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됐다고 생각하는지
"사법리스크가 해소됐다" 50.2%, "해소되지 않았다" 43.9%, '잘 모르겠다' 5.8%
-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에선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됐다"는 응답이, 70세 이상에선 "해소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반면 70세 이상에선 '해소' 30.0% 대 '해소 안돼' 56.7%로 이 대표에 대한 부정적 응답이 높았습니다.
- 지역별로 보면 경기·인천과 호남에선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해소됐다"는 응답이, 충청에선 "해소되지 않았다"는 응답이 앞섰습니다. 이외 지역에선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해소 여부를 놓고 두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습니다.
- 중도층에선 '해소' 45.1% 대 '해소 안돼' 46.8%로, 두 응답이 접전이었습니다. 진영별로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 해소 여부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정당 지지율
민주당 47.5%, 국민의힘 36.4%, 조국혁신당 4.7%, 개혁신당 1.3%, 진보당 1.0%, '그 외 다른 정당' 1.8%, '지지 정당 없음' 6.9%, '잘 모름' 0.4%
- 민주당 지지율은 2주 전보다 2.6%포인트 상승한 47.5%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국민의힘 지지율은 1.1%포인트 하락한 36.4%였습니다.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11.1%포인트 차이로 앞섰습니다.
-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민주당은 30대에서 50대까지, 국민의힘은 70세 이상에서 확실한 우위를 보였습니다. 이외 20대 민주당 43.1% 대 국민의힘 34.9%, 60대 민주당 43.9% 대 국민의힘 42.2%였습니다. 20대의 경우, 2주 전에 비해 민주당의 지지율이 33.0%에서 43.1%로 10.1%포인트 올랐습니다.
- 지역별로 보면 경기·인천과 호남에선 민주당이 우세했습니다. 충청과 영남에서 양당의 지지율이 팽팽했습니다. 특히 보수 지지세가 강한 영남에서 양당의 지지율이 접전을 벌였습니다.
- 중도층 민주당 43.4% 대 국민의힘 31.4%로, 민주당이 10%포인트 이상의 격차로 앞섰습니다. 보수층 국민의힘 65.0% 대 민주당 24.3%, 진보층 민주당 77.1% 대 국민의힘 10.0%로, 진영별로 지지 정당이 확연히 달랐습니다.
* 이번 조사는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달 31일부터 지난 1일까지 이틀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106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입니다.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4.2%로 집계됐습니다. 본 조사의 가중배율은 0.92~1.17입니다. 이번 조사는 정치성향 문항을 '적극적 보수', '다소 보수', '중도', '다소 진보', '적극적 진보'로 나눠 보수층과 진보층을 보다 세분화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2025년 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셀가중을 적용했습니다. 그 밖의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나 서치통 홈페이지(www.searchtong.com)를 참조하면 됩니다.
데일리안 의뢰, 여론조사공정㈜ 3월 31일~4월 1일 전국 남녀 유권자 1000명 대상 조사
'윤 대통령이 탄핵될 경우 범여권 대선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한지'(국민의힘 지지층 및 무당층 총 471명 대상)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29.5%,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시장 각 11.6%, 오세훈 시장 8.0%,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5.5%,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3.8%,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3.7%, 박형준 부산광역시장 1.5%, '없다' 38.3%, '기타·잘 모름' 22.9%
- 특히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답한 응답자 386명 사이에서 김문수 장관(34.1%)의 지지율 30%대를 넘겼다. 홍준표 시장(13.4%)과 한동훈 전 대표(11.8%)는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이어 △오세훈 시장(9.1%) △나경원 의원(6.5%) △원희룡 전 장관(4.1%) △안철수 의원(2.5%) △박형준 시장(1.8%) 순으로 집계됐다.
- 무당층에서 가장 유력한 여권 대선 후보는 한동훈 전 대표(10.7%)이었다. 안철수 의원은 9.0%로 2위를 기록했다. 뒤로는 △김문수 장관(8.5%) △오세훈 시장(3.4%) △홍준표 시장(3.2%) △원희룡 전 장관(2.8%) △나경원 의원(1.1%) △박형준 시장(0.0%) 순으로 집계됐다.
'범야권 대선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다고 보는가’(야권 지지층 및 무당층 614명 대상)
이재명 대표 74.0%,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3.4%,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3.3.%, 김동연 경기도지사 2.7%, 우원식 국회의장 2.3%, 이낙연 전 국무총리 2.3%, 김부겸 전 국무총리 1.8%, 추미애 민주당 의원 0.7%, "지지후보가 없다" 5.4%, "기타·잘 모르겠다" 4.1%
- 이 대표의 지지율은 무당층을 제외한 '야권 지지층'만을 대상으로 봤을 땐 6.6%p 상승한 80.6%를 기록했다. 김동연 지사와 추미애 의원이 각각 0.2%p, 0.1%p 상승했을 뿐, 다른 야권 주자들은 모두 하락했다. 순서대로 보면 △이준석 3.1% △김경수 3.0% △김동연 2.9% △우원식 2.2% △김부겸 1.3% △이낙연 1.2% △추미애 0.8% 순으로 조사됐다. 이외 △없다 2.4% △기타·잘모름은 2.5%였다.
- 조사 대상의 범주를 '민주당 지지층'만으로 좁혔을 때, 이 대표 지지율은 89.1%로 대폭 상승했다. 이외 우원식 의장이 2.3%를 얻어 2위를 기록했고, △김동연 2.2% △김경수 1.5% △이낙연 0.8% △이준석 0.7% △김부겸 0.4% △추미애 0.2% 순으로 나타났다.
- 조국혁신당 지지층 또한 이 대표를 유력 대권주자로 봤으나, 김경수 전 지사에 대한 지지율도 동반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혁신당 지지층의 52.4%가 이 대표를 지지했고, 김경수 전 지사는 13.9%를 기록했다. 이어 △김동연 9.6.% △추미애 4.3% △김부겸 2.5% △이준석 2.5% △우원식·이낙연 0%로 집계됐다.
- 지지 정당 여부와 관계 없이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7.2%가 이 대표를 차기 대권 적임자로 꼽았다. 이어 △이낙연 8.0% △김동연 5.2% △김부겸 4.6% △이준석 4.3% △김경수 2.7% △우원식 2.4% 추미애 0.8% 순으로 나타났다. "없다"는 19.2%, "기타·잘 모름"은 5.7%였다.
- 이 대표는 전권역·전연령·모든 성별에서 다른 야권 잠룡들에 비해 압도적인 지지율을 나타냈다. 우선 권역별 이 대표 지지율은 △서울 44.5% △인천·경기 43.8% △대전·세종·충남북 57.2% △광주·전남북 59.8% △대구·경북 43.5% △부산·울산·경남 44.0% △강원·제주 50.5% 순으로 집계됐다.
- 이 대표는 투표권을 가진 연령 가운데, 60대와 70대 이상을 제외하면 사실상 과반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20대 이하 43.4% △30대 54.0% △40대 57.4% △50대 53.1% △60대 38.9% △70대 이상 34.7%였다. 성별로도 '이 대표를 지지한다'고 응답한 남성은 47.8%, 여성은 46.7%로 조사됐다.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는 가장 큰 이유'(범야권 대선 후보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선택한 473명 대상)
"행정 경험" 55.8%, "정치력" 31.2%, "도덕성" 4.7%
- 이 대표 지지이유에 대한 권역별 응답은 △서울(도덕성 4.6%·정치력 30.2%·행정경험 50.6%) △인천·경기(도덕성 4.3%·정치력 30.7%·행정경험 58.2%) △대전·세종·충남북(도덕성 4.6%·정치력 26.9%·행정경험 60.7% △광주·전남북(도덕성 3.7%·정치력 33.5%·행정경험 54.0%) △대구·경북(도덕성 2.1%·정치력 36.3%·행정경험 57.4%) △부산·울산·경남(도덕성 8.8%·정치력 25.4%·행정경험 58.5%) △강원·제주(도덕성 2.9%·정치력 52.9%·행정경험 39.4%) 순으로 집계됐다.
- 투표권을 가진 모든 연령층에서도 이 대표 지지 이유에 도덕성을 응답한 비율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구체적으로 △20대 이하(도덕성 3.0%·정치력 18.7%·행정경험 69.8%) △30대(도덕성 6.4%·정치력 31.1%·행정경험 54.9%) △40대(도덕성 4.5%·정치력 29.5%·행정경험 57.8%) △50대(도덕성 7.2%·정치력 32.7%·행정경험 56.4%) △60대(도덕성 2.6%·정치력 37.1%·행정경험 50.8%) △70대 이상(도덕성 2.1%·정치력 39.7%·행정경험 41.4%)였다.
- 성별로도 △남성(도덕성 7.3%·정치력 31.6%·행정경험 52.9%) △여성(도덕성 2.1%·정치력 30.8%·행정경험 58.8%) 순으로 나타났다.
- 아울러 지지 정당별, 특히 민주당 지지층에서도 이 대표의 '도덕성' 항목은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이재명+민주당 지지(도덕성 4.4%·정치력 32.4%·행정경험 55.8%) △이재명+국민의힘 지지(도덕성 15.0%·정치력 28.5%·행정경험 34.2%) △이재명+조국혁신당 지지(도덕성 7.3%·정치력 28.8%·행정경험 55.2%) △이재명+개혁신당 지지(도덕성 0%·정치력 42.5%·행정경험 57.5%) △이재명+진보당 지지(도덕성 0%·정치력 48.5%·행정경험 51.5%) 순으로 조사됐다.
*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31일~4월 1일 전국 남녀 유권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 100% RDD 방식 ARS로 진행됐다. 전체 응답률은 4.5%로 최종 1000명이 응답했다. 표본은 지난 2월말 국가 인구통계에 따른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셀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여론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31-0401 윤대통령 복귀 찬반, 국무위원 연쇄탄핵 적절성, 정당지지도, 뉴스토마토 미디어토마토 (0) | 2025.04.04 |
---|---|
20250330-31 탄핵 찬반, 탄핵심판 결과 수용의향, 범진보 범보수 후보 적합도, KPI뉴스 리서치뷰 (0) | 2025.04.04 |
20250331-0401 범여권 범야권 대선 후보 적합도, 데일리안 여론조사공정 (0) | 2025.04.03 |
20250326-28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 에너지경제신문 리얼미터 (0) | 2025.03.31 |
20250328-29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이재명 항소심 평가, 탄핵 전망, CBS노컷뉴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0) | 2025.03.30 |
댓글